콜금리·예금금리·대출금리 3가지를 한번에 이해하기
뉴스나 금융 기사에서 금리에 대한 이야기가 나올 때, 콜금리·예금금리·대출금리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하죠. 단어는 다르지만 모두 ‘금리’라는 공통된 개념이 있어서 헷갈리기 쉽습니다. 오늘은 이 세 가지 금리를 하나의 흐름으로 묶어서 쉽게 알아보겠습니다. 콜금리는 은행 간 초단기 자금 금리 콜금리는 일반 개인이 체감할 일은 거의 없지만, 모든 금리의 ‘기초’ 역할을 하는 중요한 수치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금융기관들 사이에서 아주 짧은 기간(주로 하루 단위) 자금을 빌릴 때 적용되는 이자율 을 말합니다. ‘콜시장’이라는 초단기 자금시장에서 형성되는 금리라서 이렇게 불립니다. 은행들은 매일 자금의 여유분과 부족분이 다르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돈이 부족한 곳은 남는 곳에서 돈을 빌립니다. 이때 책정되는 금리가 바로 콜금리입니다. 중앙은행의 기준금리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기준금리 인상·인하에 가장 먼저 반응합니다. 2023년 기준으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3.5%로 유지할 때, 콜금리는 하루 단위로 3.4~3.6% 사이에서 움직이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저는 주식 투자에 앞서 시황 분석을 할 때 콜금리를 참고하는데, 단기 자금 수요가 많아질수록 콜금리가 오르기 때문에, 금융시장 전체의 유동성을 짐작할 수 있는 지표로 자주 확인하고 있습니다. 예금금리는 고객이 돈을 맡겼을 때 받는 이자율 예금금리는 우리가 은행에 돈을 맡겼을 때 받을 수 있는 금리를 말합니다. 정기예금, 정기적금, CMA, 수시입출식 계좌 등에 따라 적용 금리는 다르지만, 기본적으로는 시장 금리와 콜금리, 기준금리에 영향을 받습니다. 예를 들어, 기준금리가 오르면 은행도 예금을 유치하기 위해 더 높은 금리를 제시하게 됩니다. 반대로 기준금리가 내려가면, 예금금리도 떨어져 수익이 줄어드는 구조입니다. 시중은행들이 특판 예금 상품을 내놓을 때 시기에 따라 이율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2022년 말부터 2023년 초까지는 기준금리 인상기에 맞춰 예금금리가 4~5%까지 치...